롤 티어 올리는 법, 원딜로 다이아가기 3편

2023. 3. 20. 18:23리그오브레전드/원딜

원딜이 라인전에서 스스로 무언가를 만들어내긴 힘들다.

그렇다 이건 변하지 않다. 하지만 만들기 힘들다고 했지 못만든다곤 안했다.

오늘 3편에서는 라인전 기초를 토대로 가볼 예정이다 라인전 시리즈는 3개정도 될 예정이다.

 

우연히 저티어 부캐가 한 개 있어서 랭크를 돌려봤다.

대충 2패 빼면 거의 전승이었고 승률은 90%정도 됐던 것 같다.

해당 티어는 실버에서 플레티넘까지 해본 결과이다.

 

확실히 밑에 티어는 라인전을 정말 못한다. 한타는 어찌저찌 포지션을 잡는 흉내는 내는데

라인전을 너무 못하기 때문에 한타에 가서도 본인의 피지컬을 전부 발휘하는데에 한계가 있다.

 

사실 요즘에는 미니언만 잘 먹어도 분당 cs는 9개는 우숩게 나올 수 있다.

그치만 집타이밍부터 모르니까 당연한 것..

 

집 타이밍에 관해서는 롤을 이기는 법 목록에서 찾아보면 알기 쉬울 것 같다.

일단 라인전은 확실하게 서포터가 하는게 맞다.

 

라인전에서 보면 티어가 낮을수록 서폿이 원딜보다 뒤에 자리잡는 현상이

너무나도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이럴 땐 원딜이 어떻게 해야하나 .. 멘탈이 나간다.

 

어쩌겠는가 그럴 땐 그냥 싸우려고 생각하지말고 미니언만 받아먹는것에 감사하게 먹자.

체력은 유지하면서 미니언을 받을 수 있는 만큼 받는 것이다.

 

불리한 기준으로 볼 땐, 원딜은 타워 허깅하고 분당 8개는 먹을 생각을 해야한다.

티어가 낮으면 5개 6개로 내려가는데, 8개 정도는 먹어줘야 그래도 조금 낫다는거지

그렇게 잘 받아먹었다고 하기도 어렵다.

 

일단 원딜의 기초는 CS에서 나온다.

라인관리도 결국 CS 수급에 영향이 가는것이고

결국 그 영향은 원딜의 템속도로 결과로써 나타난다.

 

한번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연습모드에서

도란검만 사고 스킬을 쓰지 않은채 10분 30초까지 라인을 파밍해보자 바텀에서

그 때 분당 11개가 나오지 않는다면 놓친 CS가 상당히 많다는 것이다.

내 기억이 맞다면 아마 120개를 약간 넘는 수치의 CS가 발생할 것이다.

 

그렇게 해서 파밍을 연습하다보면 다음단계로 갈 수 있다.

 

미니언이라도 잘 주워먹는 단계가 되었다면

라인을 먼저 건드려서 평타 한 대를 벌어가는 것이다.

무슨소리일까 이해가 안될 수 있다.

 

초반 2렙을 먼저 만들기 전에 첫 라인이 도착했을 때

평타를 한대라도 먼저 쳐서 선 2레벨을 당겨오자.

티어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상대방도 똑같이 하기 때문에

미니언에 평타를 쉬는 작업을 해선 안된다.

 

선 2레벨 혹은 맞 2레벨을 맞춰주는게 중요한데

간혹가다 상대방이 1레벨부터 너무 쌘 조합이면 피를 빼지말고

멀리서 겸상만 하는 것도 중요하다.

 

피가 빠지면 다이브의 위험도 높아지고

그냥 미니언을 받지도 못하는 상황이 나오니까

여러가지 손해로 아예 이어져버릴 수 있다.

그러면 초반부터 포탑은 채굴당하는 일이 생기고 자연스럽게 격차가 나니까

케이틀린 럭스같은 조합을 만났더라면, 정글이 오는 기회, 아군 서폿의 기회를 기다리자

본인은 최대한 피가 안빠지도록 미니언을 먹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초반 1레벨을 하는 방법을 알았다면 여기서 디테일을 추가해보자

 

평타 한대를 벌어서 상대가 1대 빼기라고 가정하면

미니언에 1대를 때려야 서로 같아질 때

상대방이 미니언에 1대를 침으로써 생기는 본인의 이득된 시간을

상대방 견제에 스킬이나 평타로 투자하는 것이다.

 

무슨소리냐

 

1. 나는 미니언 먼저 한대 쳤음

2. 상대방이 나보다 미니언을 늦게 쳤음

3. 공격속도로 인한 그 사이에 틈이 생김

4. 나는 먼저 쳤기 때문에 공속 딜레이에 먼저 벗어남

5. 상대방에게 공격을 함

6.상대방은 그 텀에 공속에 딜레이로 인해서 평타를 칠 수 없음

7.그러면 스킬을 써야하는데 둘다 스킬을 쓴다고하면

8.결국 내가 평타 1대를 더 이득보게 됨

 

실제로 파밍 사이사이에 이러한 심리전이 필요하다.

좀 더 나아가면 서로 이러한 심리전이 생길 때

평타 캔슬로써 역으로 공속을 버는일도 생기는데

일단은 위에 과정을 10번 읽어서 연습모드에서 체화해보자.

그리고 랭크를 가서 차근차근 적용하는 것이다.

 

 

5분 전만해도 사실 이렇게나 할게 많은데 대부분 너무 못한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라인전에 대한 내용으로 쓸 부분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계속 길어질 우려가 있으니 오늘은 여기서 포스팅을 마무리하겠다.

다음 4편에서도 역시 라인전에 대한 초반 단계를 공식화함으로써 보여줄 예정이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