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3. 22. 07:36ㆍ주식
보통 우리들의 투자 방식 중에서
스켈핑, 데이트레이더
스윙 트레이더, 중장기 트레이더
장기 트레이더가 있는데
그중에서 오늘은 장기 트레이딩에 대해서 한번 얘기해보려고한다.
장기 트레이딩이란 일단 1년 이상을 바라보고 투자를 하는 경향을 얘기하는데 사람마다 기간의 차이는
다소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두자. 그래도 어느정도 기간의 의미는 일맥상통 할 것이다.
우리가 흔히들 얘기하는 것 중에 하나가 삼성만 계속 사면서 살아도 미래에 먹고 살만한 재산은
충족할 수 있다고 하지만 사람들은 하고있을까? 절대로 안하고있다.
일시적인 기간동안은 삼성을 매수하지만, 결국 시간이 지나면 주변 지인들이나
어쩌다가 보게된 급등락 종목을 보면서
와 이런 곳에 넣었다가 뺐으면 수익이 얼마야? 이런 마인드로 삼성에 있던 돈들이
조금씩 조금씩 빠져 나가면서 결국 자신의 미래를 팔고있다.
굉장히 안타깝다.
이렇게 해서 벌어들인 소득은 어차피 실력에 맞게 성장한 것이 아니라면 수익을 볼 수 없을테지만
그럼에도 인간이라는 동물은 금전적인 부분이 눈앞에서 마이너스 였다가 플러스로 전환되면
기분은 플러스로 되는 것이다. 본전 욕구도 있겠다만..
하지만 미래를 생각하고 투자한 사람들은 실제로 20년 뒤에 10억은 이상 가지고 있을 확률이 굉장히 높다.
어차피 주식은 계속 오르기 때문이다.
물론 장기 투자가 무조건 좋다고 얘기할 순 없지만, 삼성 같은경우는
우리나라의 경제구조를 0순위로 담당하는 기업인데 이 기업이 망하면 우리나라 경제도 망하지 않을까?
기본적인 생각만 해도 알 수 있다. 그러면 삼성이 과거에 250만원을 넘었으니, 5만원대로 액면분할을 하고서
현재 9만원을 잠시 넘었다가 8만원 선까지 와서 횡보를 하고 있다.
250만원 짜리가 8만원이 된 것은 굉장히 저렴하지 않나?
예전에 SK도 3만원에 매수했던 존 리가 몇백만원에 매도를 했던 것처럼
언젠가 삼성도 다시 그럴날이 올 것이고, 세계적인 기업이기 때문에 무조건 성장을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면 이러한 기업에다가 나의 20년 재산을 투자를 하면 노후 자금으로 충분하지 않을까.
장기 투자의 방식에서 기본중의 기본은 시가총액 1등기업을 매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삼성전자가 1등인데 내가 7년동안 계속 모아왔다고 가정 해보자.
근데 갑자기 시가총액 2등이였던 SK하이닉스 삼성전자를 역전하고 1등으로 넘어왔다.
그러면 그 때 삼성전자의 주식을 전액 처분하고 SK하이닉스의 주식을 사는 방식이다.
다음은 재무제표를 보고 우량주, 대형주를 컨택트해서 매수하는 것이다.
사업의 동향, 우리 주변에 이 기업의 제품이나 상품이 얼마나 눈에 잘 띄고
내가 이 물품들을 사용하면서 느꼈던 장점이나 단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 후에 매수하는 방법도 하나의 장기투자 방식 중에 하나이다.
그렇게 어렵지 않으면 않고, 어렵다면 어렵지만 다르게 생각해보면
어떤가 이렇게만 오랫동안 묵묵히 자기만의 방식을 걸어가면
결국엔 수익이 나게 되고 노후 자금 대비가 가능한데
본인들은 장기투자를 목적으로 하는지
당장 눈앞의 살림을 위한 목적으로 하는지 의식하고
주식을 투자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에서 거래량은 얼마나 중요할까? (0) | 2021.04.11 |
---|---|
수익의 연속성이 중요한 이유,주식 6개월 수익이 기본 (0) | 2021.04.10 |
주식 하는 이유, 잘못된 방식을 비판한다. (2) | 2021.03.18 |
주식 감자가 뭘까?, 유상감자 무상감자 감자 (0) | 2021.03.13 |
무상증자에 대해서 잘못 알았던것? (0) | 2021.03.09 |